금융 대출 Tip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신청 방법 청년을 위한 정책

키봉 2023. 3. 16. 16:58
반응형

 

2023년 6월 정부에서 청년만 최대 5천만 원 지원금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참여 방법은? 적금만 잘하면 됩니다. 만 19세~34세 청년 대상으로 실행하며

곧 출시 예정 청년도약 신청 방법 안내 드리겠습니다.

 

※ 목차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청년도약계좌 수령액

청년도약계좌 상세 정보

청년도약계좌 심사 기준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 만 19~34세(병역 이행기간만큼 최대 6년까지)
  •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총급여 기준 6,000만 원 이상은 정부기여금 지급 안함)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 제한됨(이자+배당소득 2,000만 원 초과)
  • 지자체 자산형성상품 및 내일채움공제 동시가입 허용,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 가입 할 수 없음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얼마인지 계산하는 방법 링크 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수령액

 

Ex) 1. 총 급여 3,500만원 A가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 매월 70만 원 납입 시 예상 만기 수령액은 얼마일까?

      2. 원금 합계 4,200만 원 + 정부 기여금(2.3만원*60개월)= 4,817만 원

 

- 이자는 비과세 혜택 적용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상세 정보

 

  • 5년 만기, 매월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 납입
  • 총 급여 기준 4,800만 원 이하인 경우 월 40~60만 원 납입하더라도 정부 기여금 수령할 수 있습니다.
총급여 기여급 지급한도
2,400만 원 이하 40만 원(월 2.4만 원)
3,600만 원 이하 50만 원(월 2.3 만 원)
4,800만 원 이하 60만 원(월 2.2만 원)
6,000만 원 이하 70만 원(월 2.1만 원)

 

청년도약계좌 심사 기준

 

  1. 2023년 6월 부터 가입 신청 및 비대면 심사 예정, 가구원은 가입 당시 기준입니다.
  2. 개인, 가구 소득은 22년 소득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21년 소득 기준으로 가입 여부 판단합니다.
  3. 1년 주기로 개인 소득 심사해서 기여금 지급 규모 조정, 예기치 못한 불이익 방지를 위해 가구소득 변동은 미반영 됩니다.

▶ 청년희망적금 미가입자 및 중도 해지자는 2023년 6월 부터 12월 23일까지 가입 할 수 있습니다.

▶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2024년 2월 or 3월24일 이후 추가 모집합니다.

※ 총급여 3,600만 원 이하인 분, 청년희망적금이 더 유리 할 수 있습니다. 조건을 비교해보시고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